:: Tomcat서버의 기본 문자 방식은 IOS-8859-1이므로 별도 한글 인코딩을 하지 않으면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

:: Get방식과 Post방식에 따라 한글처리 방식에 차이가 있음.


[ Get ]

:: server.xml에서 해당 태그의 인코딩 부분 수정

1
<Connector URIEncoding="EUC-KR" port="8181"



[ Post ]

:: request.setCharacterEncoding() 메소드 이용

1
2
3
4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System.out.println("doPost");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




※ html파일에 <meta charset="EUC-KR"> 부분이 UTF-8인지 확인할 것.



[ 이클립스 설정 ]


1. Windows → Preferences → Web → JSP files에서 Encoding 을 Unicode(UTF-8)로 변경
2. Windows → Preferences → Web → HTML files에서도 변경

3. Windows → Preferences → General → Editors → Text Editors → Spelling 에서 Encoding을 MS949에서 UTF-8로 변경

4. server에서 server.xml파일을 열면 Connector를 검색해서 

   <Connector connectionTimeout="20000" port="1111" protocol="HTTP/1.1" redirectPort="8644"/> 이부분 앞에 인코딩 추가.

   <Connector URIEncoding="UTF-8" connectionTimeout="20000" port="4160" protocol="HTTP/1.1" redirectPort="8443"/>


'프로그래밍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0) 2019.03.05
Servlet(1)  (0) 2019.03.05
HTML form태그  (0) 2019.03.04
컨텍스트 패스(Context Path)  (0) 2019.02.22
doGet 과 doPOST  (0) 2019.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