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사용자가 Azure 도구, API 또는 SDK에서 요청을 보내게 되면 Azure Resource Manager에서 요청을 받아 인증 및 권한 부여를 함

-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는 Azure 서비스로 요청을 보냄

 

 

 

'클라우드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와 Azure 서비스 매칭  (0) 2021.06.03
Azure CLI 명령  (0) 2021.06.03
Azure CLI 설치  (0) 2021.06.03

참고 

- https://cloud.google.com/free/docs/aws-azure-gcp-service-comparison?hl=ko 

 

AWS와 Azure 서비스를 Google Cloud와 비교  |  Google Cloud 무료 프로그램

최종 업데이트: 2021년 4월 28일 이 표에는 일반 안정화 버전의 Google Cloud 서비스가 나와 있으며 Amazon Web Services(AWS) 및 Microsoft Azure의 유사한 제품과 매핑합니다. 서비스 유형, 기능 또는 제품 이름

cloud.google.com

 

'클라우드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Resource Group  (0) 2021.06.04
Azure CLI 명령  (0) 2021.06.03
Azure CLI 설치  (0) 2021.06.03

리소스 그룹 생성

az group create --name TutorialResouces
az group list

가상 네크워크 생성

az network vnet create \
-g TutorialREsources \
-n MyVnet \
--address-prefix 10.0.0.0/16 \
--subnet-name Mysubnet \
--subnet-prefix 10.0.10.0/24

 

서브넷 생성

az network vnet subnet create --address-prefixes
                              --name
                              --resource-group
                              --vnet-name
                              [--defer]
                              [--delegations]
                              [--disable-private-endpoint-network-policies {false, true}]
                              [--disable-private-link-service-network-policies {false, true}]
                              [--nat-gateway]
                              [--network-security-group]
                              [--route-table]
                              [--service-endpoint-policy]
                              [--service-endpoints]
                              [--subscription]
 az network vnet subnet create \
 -g TutorialResources \
 --vnet-name MyVnet \
 -n MySubnet2 \
 --address-prefixes 10.0.20.0/24 \
 --network-security-group MyNsg \
 --route-table MyRouteTable

참고 

- https://docs.microsoft.com/ko-kr/cli/azure/network/vnet?view=azure-cli-latest 

 

az network vnet

--> az network vnet 이 문서의 내용 명령 az network vnet check-ip-address 가상 네트워크 내에서 개인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 합니다. az network vnet check-ip-address --ip-address [--ids] [--name] [--resource-group] [

docs.microsoft.com

 

'클라우드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Resource Group  (0) 2021.06.04
AWS와 Azure 서비스 매칭  (0) 2021.06.03
Azure CLI 설치  (0) 2021.06.03

설치

curl -sL https://aka.ms/InstallAzureCLIDeb | sudo bash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접속

az login

 

참고

https://docs.microsoft.com/ko-kr/cli/azure/install-azure-cli-linux?view=azure-cli-latest&pivots=apt 

 

Linux용 Azure CLI 수동 설치

Linux용 Azure CLI를 수동으로 설치하는 방법

docs.microsoft.com

 

'클라우드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Resource Group  (0) 2021.06.04
AWS와 Azure 서비스 매칭  (0) 2021.06.03
Azure CLI 명령  (0) 2021.06.03

SDN

- 네트워크 장비의 패킷 전달 기능에서 제어부와 전송부를 분리해 제어 부분을 하나의 컨트롤러로 집중하고 전송부분들을 한 번에 컨트롤

- 네트워크의 모든 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하나의 화면에서 통합 관리가 가능함

 

 

NFV

- 물리적 장치를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 접근법

 

 

참고

https://blog.naver.com/love_tolty/221215607979

 

[SDN동향]SDN이란 무엇인가?('18.5 기준)

0. 들어가기 전에 | 간단한 포스팅 내용 소개 본 포스팅은 "SDN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개념...

blog.naver.com

https://openloopgain.tistory.com/entry/SDN%EA%B3%BC-NFV%EC%9D%98-%EC%B0%A8%EC%9D%B4

 

SDN과 NFV의 차이

내가 통신쪽을 공부하게 되면서 수없이 많이 봐왔고, 한동안 계속해서 거의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던 두가지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두 개념을 orthogonal 하다고 표현을 할 정도로, 매우 명

openloopgain.tistory.com

https://m.blog.naver.com/shakey7/221848950760

 

네트워크 가상화: NFV & SDN (클라우드 / 가상 머신 / 컨테이너 / 5G / 유선망 코어망 핵심망 / 무선망

1. 네트워크 가상화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 기존 네트워크 장비들은 하드웨어와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shakey7/221514174115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GCP 서비스 비교(수정중)  (0) 2021.05.31

개요 

- Amazon VPC, AWS 계정 및 On-Premise 네트워크를 단일 게이트웨이에 연결해 클라우드 라우터 역할을 함

 

내용

- 퍼블릭 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자동으로 데이터 암호화

- VPN을 사용해 On-Premise와 Transit Gateway간 연결 생성으로 엣지 연결

- 두 VPN간 NAT 게이트웨이, Network Load Balancer, AWS PrivateLink 및 Amazon Elastic File System에 액세스 가능

- IAM과 통합되어 안전하게 액세스 관리

 

제한

- https://docs.aws.amazon.com/ko_kr/vpc/latest/tgw/transit-gateway-quotas.html

 

전송 게이트웨이에 대한 할당량 -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전송 게이트웨이에 대한 할당량 AWS 계정에는 전송 게이트웨이에 관련된 다음과 같은 서비스 할당량(이전에는 할당량이라고 함)이 있습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할당량 증가를 요청할 수 있

docs.aws.amazon.com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VPC Peering  (0) 2021.06.01
AMI 생성 전 /etc/cloud/cloud.cfg 설정  (0) 2021.05.31
AWS Network Load Balancer  (0) 2021.05.21
AWS Internet Gateway  (0) 2021.05.17
AWS Gateway LoadBalancer  (0) 2021.04.26

개요

- 두 VPC간 Private IP를 사용해 트래픽을 라우팅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 

- VPN 연결이나 물리적 연결에 의존하지 않아 병목에 대한 단일 지점 장애가 없음

 

기능

- 다른 계정, 리전의 VPC와의 연결 가능

- 프라이빗 IP 공간 안에서 트래픽이 유지되며, 모든 리전 간 트래픽은 암호화 됨

- 트래픽은 항상 AWS *백본에서만 유지되고 절대로 퍼블릭 인터넷을 통과하지 않음

 

제한

- 중첩된 *CIDR 블록이 있을 경우 VPC Peering 연결을 할 수 없음

- 연결된 Peering VPC를 통해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패킷을 내보낼 수 없음

 

* 백본 : 다양한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트래픽은 라우터 뒤에 있는 백본을 지나치게 됨

* CIDR : 네트워크 대역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Transit Gateway  (0) 2021.06.01
AMI 생성 전 /etc/cloud/cloud.cfg 설정  (0) 2021.05.31
AWS Network Load Balancer  (0) 2021.05.21
AWS Internet Gateway  (0) 2021.05.17
AWS Gateway LoadBalancer  (0) 2021.04.26

 설정 전

- EC2 인스턴스 생성 후 별도 설정 없이 AMI를 생성 하면 시스템 변경 값이 저장되지 않고 /etc/cloud/cloud.cfg 설정값대로 생성 되거나 다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설정 후

- EC2 인스턴스 생성 후 /etc/cloud/cloud.cfg 파일에 변경할 시스템 값을 설정 후 AMI를 생성 하면 시스템 변경 값을 유지한 채 생성 됨

- 또는 EC2 생성 과정에 user-data 입력란에서 cloud-init 명령을 전달해 설정 가능

 

예제

- ssh password 접속 설정

# ssh_pwaut 부분을 True 또는 1로 설정

 

참고

 

-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user-data.html

 

시작 시 Linux 인스턴스에서 명령 실행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시작 시 Linux 인스턴스에서 명령 실행 Amazon EC2에서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사용자 데이터를 인스턴스에 전달하여 일반적인 구성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데 사용하도록 할 수 있고, 인스턴스가

docs.aws.amazon.com

-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red_hat_virtualization/4.1/html/virtual_machine_management_guide/sect-using_cloud-init_to_automate_the_configuration_of_virtual_machines

 

7.8. Cloud-Init을 사용하여 가상 머신 설정 자동화 Red Hat Virtualization 4.1 | Red Hat Customer Portal

The Red Hat Customer Portal delivers the knowledge, expertise, and guidance available through your Red Hat subscription.

access.redhat.com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Transit Gateway  (0) 2021.06.01
Amazon VPC Peering  (0) 2021.06.01
AWS Network Load Balancer  (0) 2021.05.21
AWS Internet Gateway  (0) 2021.05.17
AWS Gateway LoadBalancer  (0) 2021.04.26

CDN 서비스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Cloud Front  
GCP Cloud CDN  

 

네트워크

 

> 가상 네트워크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VPC  
GCP Virtual Private Cloud  

> NAT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VPC NAT Instance  
GCP Cloud NAT  

 

> DDoS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Shield Standard/Advanced  
GCP Google Cloud Armor Managed Protection  

 

> 웹 방화벽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WAF  
GCP Google Cloud Armor  

 

컴퓨팅

 

> 서버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EC2  
GCP Compute Engine  

 

> Auto Scaling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AutoScaling  
GCP Compute Engine 자동 확장 처리  

> 부하 분산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Elastic Load Balancing  
GCP Cloud Load Balancing  

> FaaS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Lambda  
GCP Cloud 함수  

 

DNS 서비스

 

> DNS 영역 및 레코드 구성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Route 53  
GCP Cloud DNS  

 

> 도메인 등록 구성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Route 53  
GCP Cloud domains  

 

모니터링

 

> 네트워크 모니터링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VPC Flow Logs  
GCP VPC 흐름 로그  

> 모니터링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CloudWatch  
GCP Cloud Monitoring  

 

로깅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CloudWatch Logs  
GCP Cloud Logging  

 

보안 및 ID

 

> 인증서 관리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Certificate Manager  
GCP Certificate Authority Service  

 

> 데이터 손실 방지(DLP)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Macie  
GCP Cloud Data Loss Prevention  

 

스토리지

 

> 객체 저장소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S3  
GCP Cloud Storage  

 

데이터베이스

 

> DBMS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RDS  
GCP Cloud SQL  

 

데이터 분석

 

> 스트림 데이터 수집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Kinesis  
GCP Pub/Sub  

> 스트림 데이터 처리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mazon Kinesis  
GCP Dataflow  

 

컨테이너

 

> 인프라가 없는 컨테이너

CSP 업체 서비스 비교
AWS AWS Lambda, AWS Fargate  
GCP Cloud Run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N/NFV  (0) 2021.06.03

 

중요

- Instance ID로 지정한 Target Group의 경우 DSR(Direct Server Return)이 활성화 되어 인스턴스는 NLB를 거치지 않고 Response를 Client에게 바로 보냄

 

- Instance IP로 지정한 Target Group의 경우 Request/Response 트래픽 모두 NLB를 거쳐서 통신

 

지원

- 프로토콜 : TCP, TLS, UDP, TCP_UDP

- 포트 : 1 ~ 65535

 

참고

- https://blog.leedoing.com/116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VPC Peering  (0) 2021.06.01
AMI 생성 전 /etc/cloud/cloud.cfg 설정  (0) 2021.05.31
AWS Internet Gateway  (0) 2021.05.17
AWS Gateway LoadBalancer  (0) 2021.04.26
AWS System Manager + Session Manager  (0) 2021.04.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