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tivity_main.xml ]

:: activity_main.xml을 열면 결과표시창과 구조표시창이 있음

  결과표시창은 말 그대로 보이는 영역을 말하는 것이고, 구조표시창은 Blue-print(청사진) 라고 하며 화면 안에 있는 것들이 서로 겹쳐져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


[ 애뮬레이터 만들기 ]

:: 앱을 실행해서 프로젝트에서 만든 기능이 무엇인지 확인해야하는데 앱을 실행하려면 애뮬레이터를 화면에 띄워야 함.

:: AVD Manager아이콘을 클릭.















[ AVD Manager 클릭 ]



:: 애뮬레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가상 단말을 만들도록 안내하는 화면이 나옴

   Create Virtual Device를 클릭

:: Nexus 5X API 26이 선택되어 있는데 그대로 두고 next

:: 하드웨어 선택은 x86버전 선택( 본인은 Oreo x86 선택)

:: AVD매니저는 기본으로 사용

:: 완료되면 목록에 추가한 애뮬레이터가 생성되어있는데 Actions의 녹색화살표 클릭


[ 애플리케이션 실행 ]


:: 녹색 화살표를 클릭해서 Run을 할 수 있지만 단축키로 [Shift + f10]를 누르면 됨.


- 앱이 실행되지 않고 오류 메시지만 보인다면 메모리 용량이 적어서 발생될 수 있음

  Android Studio가 설치된 폴더에 접근해서 studio64.exe.vmoptions파일이 있으면 사용자 폴더로 복사해서 메모장으로 열고 -Xmx로 시작하는 줄을 찾아

  서 뒤의 숫자를 더 큰 숫자로 변경 후 기존 폴더에 수정된 파일을 덮어쓰기함.

 




[ Android Studio ]

:: InteliJ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만든 앱 개발 도구

:: 개발에 필요한 기능이 한번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 설치 ]


1. 자바 설치

:: 자바 SE 설치

:: 자바 개발도구인 JDK를 오라클 홈페이지에서 다운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 http://developer.android.com/studio/index.html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 다운

:: 설치


3. SDK매니저로 플랫폼 추가 설치

1) 설치후 configure항목에 SDK Manager를 선택

2) SDK Platforms 탭의 show Package Details 체크박스를 선택

3) Android 8.0(Oreo)아래의 SDK Platform, Sources, Images 선택

4) 두번째 탭은 SDK Tools를 눌러 설치된 라이브러리나 도구를 확인하고 추가 설치 항목을 체크한 후 Apply버튼을 눌러 설치

5) SDK Build-Tools, Android SDK Platform-Tools, Android SDK Tools 항목이 최신버전이면 그 외에 Google Play services, Surpport Repository 항목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체크박스 체크

6) 라이센스에 동의


[ 프로젝트 생성 ]

1. Android Studio의 첫 화면에 Start new Android Studio Project를 선택

2. Application name에는 앱 이름을 입력

3. Company domain에는 회사 도메인

4. Project location에는 저장경로

5. Package name은 자동으로 지정됨

6. 다음을 누르면 Phone and Tablet에 체크가 되어있음. 난 Android 8.0(Oreo)를 선택

7. 레이아웃 화면 선택란은 default로 냅둠

8. 두개의 파일 이름을 보여주는데 그냥 finish




'프로그래밍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Studio 시작하기  (0) 2019.03.17

+ Recent posts